지난 번에 일본 이통3사 신요금제 발표의 배경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발표된 신요금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총무성의 요금제 인하요구(지난 편 Part1 참조)에 대해서 일본 이통3사는 20213월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3사 모드 20GB 데이터를 제공하는 신요금제를 발표하였습니다.

 

 정부의 메인 브랜드 요금인하 요구에 대해 이통3사가 온라인 가입 전용 신규요금제로 대응한 형태입니다.

 도코모는 ahamo, au(KDDI)povo, 소프트뱅크는 Softbank on LINE이라는 요금제를 내놓았습니다.

 

도코모 ahamo

 

au(KDDI) povo

 

소프트뱅크 Softbank on LINE

 

3월 개시 예정의 통신 3사 저가 신요금제

 

 실제 요금제가 나오는 것이 3월이므로 3월 이후에 가입자 추이를 봐야 하지만 일본의 높은 통신요금을 생각한다면 2,980엔이라는 요금은 아주 매력적인 요금제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통신사의 자발적인 요금인하가 아니라 정부드라이브의 요금인하인 만큼 통신사는 결합할인불가, 온라인에서만 가입가능, 기존 대리점을 통한 신규계약 불가 등의 제한사항을 두어 폭발적인 증가는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의 제한 사항을 보면 새로운 요금제라기 보다는 서브브랜드에 가깝다는 일본내 의견도 많습니다. 도코모의 ahamoau(KDDI)의 서브브랜드인 UQ mobile, 소프트뱅크의 Y!mobile에 대응해서 준비해 온 서브브랜드였으나 총무성의 서브브랜드의 요금인하보다는 메인브랜드인 MNO에서의 요금인하가 바람직하다는 인터뷰 후에 급 서브브랜드 런칭에서 신규요금제로 급 선회한 것 아니냐는 말도 일본내에서는 나오고 있습니다.

 

 어쨌든 간에 소비자로서는 저가 요금제 등장으로 인해 선택지가 늘어난 것은 환영할 일이며, 이통사로써도 대응 단말기 부족, 하계 도쿄 올림픽 개최 불투명, 코로나 환경, 비싼 요금제 등의 이유로 가입자증가가 미미한 5G 가입자 증가에 도움을 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보이고 있습니다. 저가 신요금제에 대해서는 3월 정식 출시 이후에 한번 더 다룰 수 있었으면 합니다.

 오늘은 일본 주요 3개 통신사의 저가 신요금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도 최근 통신 3사에서 저가 요금제와 결합할인 요금제 등을 추가로 발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휴대전화 요금제가 비싸다는 여론이 많습니다. 최근 발표된 일본 주요 통신3사의 저가 신요금제에 대해 두 번에 나누어서 먼저 저가 요금제가 나오게 된 배경에 대해 Part1에서 간단하게 설명을 하고 Part2에서 3사 요금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주요 MNO 3사

 

 저가 요금제가 나오게 된 배경은 일본 총무성의 통신사에 대한 통신요금 인하때문입니다.

20188, 지금은 일본 총리가 된 당시 스가 관방장관이 현재의 일본 MNO(mobile Network Operator, 기간 통신사업자)는 과점상태에 있다고 지적하고 현재 요금 대비 40% 인하여지가 있다고 압박하기 시작한 것이 일본 요금제 인하논의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본의 주요 통신사는 도코모, au(KDDI), 소프트뱅크의 3사에서 라쿠텐 모바일이 추가되어 현재 4개의 MNO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라쿠텐 모바일이 후발주자이기도 해서 파격적인 요금제로 공세를 하고 있는 반면에 기존의 MNO 3사는 비슷하게 비싼 요금제를 내고 있는 과점상태의 통신시장이었습니다.

 이후 단말과 요금제를 세트로 통신사가 판매하고 있어 소비자가 통신요금 부담이 가중된다고 판단, 20193월에 총무성은 통신요금과 단말을 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통신 요금/단말기 완전분리 의무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여 이는 4월에 가결됩니다.

이 개정안 발표 후에 일본 통신 3사는 통신요금과 단말기를 별도로 하는 통신요금/단말기 분리플랜을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도코모는 정부방침에 따라 기존 요금 대비 최대 40% 인하한 신규 요금제를 발표하였고 이는 나중에 2019년 도코모의 손익악화 이유 중 하나가 되기도 합니다. au(KDDI)도 비슷한 할인 요금제를 발표합니다.

 

 

 2020년 스가 내각 출범 이후에도 통신사에 대한 요금인하 압박은 계속되었습니다. 요금인하 압박의 근거로 1) 통신사의 두 자릿수 영업이익, 2) 해외 대비 비싼 요금제를 들었습니다.

 일본 통신사 영업이익은 많이 높은 편으로 2020년 상반기 실적 기준 도코모 25%, au(KDDI) 23%, 소프트뱅크 24%3사 모두 20퍼센트 대의 높은 이익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두번째 이유로든 해외대비 비싼 요금제의 근거로는 일본 총무성에서 데이터 용량 20GB를 기준으로 주요 6개국(일본, 미국, 서울, 독일, 프랑스, 영국)의 요금제를 조사한 결과 일본이 월정액 86천원으로 제일 쌌던 영국 런던의 29천원 대비하여 3배 가까이 비싼 요금을 내고 있으며 조사 6개국 중 가장 비싸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여기까지 일본이통3사의 요금인하 발표 배경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다음에 Part2에서 20213월부터 출시되는 일본통신3사의 신요금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품 이미지

오늘 소개해 드릴 제품은 루펜 음식물처리기 2018년형 SLW-01 모델입니다. 컬러는 위와 같이 세 가지 핑크, 민트, 화이트 세가지 색상이며 제가 구입한 모델은 화이트모델입니다.

 

 

제품 자체가 음식물 처리기이다보니 포인트가 들어간 디자인이 아닌 존재감이 최대한 없는 녀석으로, 화이트로 선택을 했습니다. 여름이 되니 벌레들도 많아지고 음식물 쓰레기를 그때그때 버릴 상황이 안될 때도 많아서 구입을 하게 되었습니다. 구입 전에 리뷰 등을 살펴보고 사는 편인데 무난해 보여서 구입을 하게 되었고 아예 갈아서 내려버리는 녀석이 좋아보이긴 했는데 가격도 가격이고 왠지 갈아서 그대로 하수도로 버린다는게 환경에도 어떨까 싶어 이 녀석으로 결정이 되었네요.

 

 

냉장고 같이 옆으로 여는 방식으로 열게 되면 위 사진과 같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안에 거름망 비슷한 게 하나 있고 이 안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게 되어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넣게 되면 이 통 청소하는게 또 일일거 같아 음식물쓰레기 봉지 그대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 자체가 열풍으로 말리는 방식이라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 넣게 되면 안에 다 말라붙어서 청소하기가 쉽지 않겠더라구요.

 

 

이게 탈취 필터입니다. 처음 제품 구입하게 되면 직접 장착하는 방식입니다. 아무래도 건조시키면서 음식물 냄새가 나오게 되니 냄새를 제거해 주는 필터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뒷면입니다. 뒷면 위에 검정색 동그란 홈이 보이시죠. 이 홈에 탈취필터를 장착하면 됩니다. 그냥 밀어서 넣어주면 장착 완료이니 쉽게 가능합니다.

 

 

탈취필터를 장착한 모습입니다. 제품자체도 작지는 않지만 탈취필터도 크기가 좀 있어 뒤로 좀 튀어나오는 구조가 됩니다.

 

 

위 쪽에 파워버튼이 있고 LED가 들어옵니다. 전원을 넣고 음식물쓰레기를 넣은 다음 버튼을 눌러주면 아래 사진과 같이 빨간 불이 들어옵니다. 빨간 블이 들어와 있을 때는 동작중이라는 의미입니다. 제품 자체가 전원 온오프가 있는 구조로 메뉴얼을 볼 필요도 없을 정도의 간단한 기계입니다.

 

위 사진은 여분으로 구입한 탈취필터입니다. 쇼핑몰에 따라서는 구입할때에 증정해주는 곳도 있으니 꼼꼼히 알아보고 구입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음식물처리기치고는 디자인이 깔끔합니다. 주방에 둬도 위압감 없을만큼 괜찮은 것은 장점입니다.

작동시간이 생각외로 긴 점은 단점으로 생각됩니다. 6시간 정도로는 건조가 거의 안되어 자는동안 내내 돌려야 해서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편입니다. 다행히 작동 소음은 거의 없는 편입니다. 구매시 참조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코네티컷 점수 2.6/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