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AI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핫한 주제인 HBM3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기쉽게 HBM2E와 비교내용도 들어있으니 참조하세요.

 

 

 

🔹 HBM3 (High Bandwidth Memory 3)란?

HBM3High Bandwidth Memory(고대역폭 메모리)의 세 번째 세대 버전으로, 기존 HBM2 및 HBM2E의 후속 모델입니다.
고성능 연산(슈퍼컴퓨터, AI, 데이터 센터, GPU 등)에 최적화된 초고속 메모리로, 기존 GDDR 메모리 대비 훨씬 높은 대역폭과 낮은 전력 소모를 제공합니다.


🔹 HBM3의 주요 특징

1. 초고속 대역폭

  • 최대 대역폭: 819GB/s (HBM2E의 460GB/s 대비 약 2배)
  • GPU와 AI 가속기에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 제공

2. 향상된 용량

  • HBM2E: 최대 16GB
  • HBM3: 최대 24GB (단일 스택 기준)
  • 여러 개의 HBM3 칩을 쌓아 최대 96GB 이상의 용량 구현 가능

3. 낮은 전력 소비

  • 기존 GDDR6보다 전력 효율이 높음
  • 같은 소비 전력에서 훨씬 높은 성능 제공

4. 고밀도 3D TSV(Through-Silicon Via) 기술

  • 실리콘을 여러 층으로 적층(Stack)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

 


🔹 HBM3 vs. HBM2E 비교

구분HBM2EHBM3

대역폭 460GB/s 819GB/s
메모리 용량 (단일 스택) 16GB 24GB
소비 전력 상대적으로 높음 낮음 (전력 효율↑)
데이터 속도 (핀당) 3.6Gbps 6.4Gbps
사용처 AI, HPC, 고성능 GPU AI, 슈퍼컴퓨터, 차세대 GPU

🔹 HBM3의 활용 분야

AI & 머신러닝 (NVIDIA, AMD GPU)
슈퍼컴퓨터 (고성능 연산, 데이터 센터,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 자동차 (고속 데이터 처리 필요)

 

 

 


🔹 HBM3를 채택한 주요 기업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 HBM3 메모리 제조
  • NVIDIA, AMD, 인텔 → AI 가속기 및 GPU에 적용
  • NVIDIA H100 GPU, AMD MI300 AI 가속기 등에서 HBM3 사용

🔹 결론

  • HBM3는 현존하는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고성능 메모리 기술
  • AI 및 데이터 센터 성능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
  • HBM4도 개발 중 (2025년 이후 출시 예상)

한 마디로, HBM3는 AI 시대의 필수 메모리! 

 

 

현존 가장 빠르다고 하는 HBM3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로봇 산업은 기술 혁신과 다양한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로 인해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동향과 발전 방향 그리고 강아지형 로봇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글로벌 로봇 시장 규모와 성장 전망

세계 로봇 산업은 2020년 약 250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1,6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20%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서비스 로봇 수요 증가가 이러한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산업용 로봇의 발전

산업용 로봇 설치 대수는 2022년 기준 53만 1,060대로 전년 대비 2% 증가하였으며, 3년 연속 50만 대를 초과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주요 산업별로는 전기·전자 분야가 13만 9,745대로 가장 많았으며, 자동차 분야가 13만 7,469대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서비스 로봇의 성장

서비스 로봇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1년 서비스용 로봇 판매는 전년 대비 9% 증가한 1,920만 대를 기록하였으며, 특히 운송·물류, 접객, 의료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습니다.

 

한국 로봇 산업의 현황

국제로봇연맹(IFR)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23년 기준 로봇 판매 시장 규모에서 세계 4위, 로봇 밀도에서는 세계 1위를 차지하며 시장 측면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로봇 산업 트렌드

    1.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의 통합: 로봇에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자율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2. 협동 로봇의 부상: 인간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협동 로봇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시장 규모가 약 50억 8,849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1. 로봇 서비스(RaaS) 모델의 성장: 로봇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RaaS 모델이 부상하고 있으며, 특히 물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향을 통해 로봇 산업은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과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아지형 로봇(Dog-like Robot)이란?

강아지형 로봇은 네 발로 움직이는 로봇(Quadrupedal Robot)으로, 주로 지형 적응성, 민첩성, 자율 이동 기능을 갖춘 로봇입니다. Boston Dynamics, Unitree, Xiaomi, 중국 기업 등 다양한 회사에서 개발하고 있으며, 군사, 산업, 연구, 개인용 반려 로봇으로 활용됩니다.


🔹 대표적인 강아지형 로봇

 

 

1. 스팟(Spot) – Boston Dynamics

  • 가장 유명한 강아지형 로봇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 장애물을 피하면서 이동 가능하고, 원격 조작 및 자율주행 가능
  • 감시, 보안, 시설 점검, 건설 현장 모니터링 등에 활용

2. Unitree Robotics의 고급 로봇

  • Unitree Go1 & B1
    •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강력한 이동 능력을 갖춤
    • 연구 및 교육용으로 인기
    • B1은 산업용으로 활용되며,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수 있음
  • Unitree Aliengo
    • AI 기반 시각 인식을 통해 더 정교한 동작 가능
    • 연구 개발 및 군사적 응용 가능

3. CyberDog – Xiaomi

  • AI 및 IoT 기능이 탑재된 반려형 로봇
  • 얼굴 인식, 음성 명령 수행, 주변 환경 감지 가능
  • 스마트폰과 연결해 다양한 기능을 조작 가능

 


🔹 강아지형 로봇의 활용 분야

1. 군사 및 보안

  • 미군과 여러 나라의 군대에서 정찰 및 수색 임무 수행
  • 위험 지역에서 폭발물 탐지 및 물자 운반 역할

2. 산업 및 건설

  • 공장 및 건설 현장에서 시설 점검
  • 위험한 환경(예: 방사능, 가스 누출)에서 작업 가능

3. 연구 및 교육

  • 인공지능(AI) 및 로봇 공학 연구용으로 활용
  • 자율주행, 균형 제어, 머신러닝 실험에 사용

4. 반려 로봇

  • 사람을 따라다니며 기본적인 상호작용 수행
  • 스마트 홈 기기와 연동해 다양한 IoT 기능 수행

🔹 강아지형 로봇의 장점과 단점

장점

✔️ 네 발 구조 덕분에 험지에서도 안정적인 이동 가능
✔️ 자율주행 및 AI 기반 적응 능력 향상
✔️ 다양한 산업 및 개인용으로 활용 가능

단점

✖️ 고가의 비용 (특히 Spot 같은 고급 모델은 수천만 원~수억 원대)
✖️ 배터리 지속 시간 제한
✖️ 아직 감성적 교감 능력이 부족해 실제 강아지 대체는 어려움


🔹 미래 전망

강아지형 로봇은 AI, 센서 기술, 배터리 기술 발전과 함께 점점 더 정교하고 실용적인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려 로봇과 군사·산업용 로봇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격이 낮아지면 개인용 시장에서도 널리 보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앞으로 더욱 지능적이고 실용적인 강아지형 로봇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핫한 중국 AI 딥시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엔비디아 최근 주식하락이 딥시크때문이라고도 할만큼 요즘 앱 다운로드 랭킹에서도 1위를 차지할 만큼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지는 만큼 어떤 점이 특징인지 단점과 한계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았습니.

 

 

 

AI 딥시크(DeepSeek)란?

**딥시크(DeepSeek)**는 중국 기반의 인공지능(AI) 연구 및 개발 조직으로, 주로 자연어 처리(NLP)와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OpenAI의 GPT 모델과 유사한 AI 모델을 개발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DeepSeek의 주요 특징

  1. 대규모 언어 모델(LLM) 개발
    • DeepSeek는 GPT 시리즈와 유사한 초거대 언어 모델(LLM)을 개발 중이며, AI 기반 챗봇 및 생성형 AI 연구를 진행합니다.
    • 특히, 중국어와 영어를 포함한 다국어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2. 오픈소스 기여
    • 일부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AI 연구 커뮤니티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 예를 들어, DeepSeek 모델은 Hugging Face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공유되며,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사례도 있습니다.
  3. 중국 AI 생태계에서의 역할
    • 중국 내에서 OpenAI, Google DeepMind, Anthropic 등과 경쟁할 수 있는 대형 AI 기업 및 연구 기관으로 자리 잡으려 하고 있습니다.
    • 대규모 데이터 학습과 중국어 최적화에 강점을 두고 있어, 중국 시장에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모델 성능과 특성
    • DeepSeek의 언어 모델은 기존 GPT 모델과 비교될 정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자연스러운 대화, 번역, 코드 생성, 요약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중국어 성능이 강력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DeepSeek의 최근 동향

  • AI 연구 개발을 더욱 확장하며, GPT-4, Gemini, Claude 등의 경쟁 모델과 비교되는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중국 내 AI 규제와 협력하며, 중국 정부의 AI 정책에 맞춘 연구를 진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 생성형 AI 분야에서 기업 및 개발자들을 위한 API 및 솔루션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DeepSeek은 OpenAI, Google, Meta 등의 글로벌 AI 기업들과 경쟁하면서도, 중국 시장 내에서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AI 딥시크(DeepSeek)의 단점과 한계

DeepSeek은 강력한 인공지능 모델이지만, 몇 가지 단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성능 및 데이터 한계

  • 영어 및 다국어 성능 부족
    • DeepSeek은 중국어 처리에 강점이 있지만, 영어 및 기타 언어에서는 성능이 상대적으로 부족할 가능성이 큽니다.
    • OpenAI의 GPT-4나 Google Gemini 등 글로벌 모델과 비교하면, 다국어 이해 및 생성 능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학습 데이터의 편향(Bias) 문제
    • 중국 내에서 학습된 데이터가 많기 때문에, 서구권 데이터와 비교할 때 정보 편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검열된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특정 이슈나 정치적 주제에 대해 제한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중국 시장 중심의 제한

  • 글로벌 접근성 부족
    • DeepSeek은 중국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글로벌 사용자들에게는 접근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 중국 내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해외 사용자는 제한된 기능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검열 및 규제 문제
    • 중국 정부의 AI 규제 정책에 따라, DeepSeek 모델은 특정 주제에 대한 응답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OpenAI와 같은 글로벌 AI 모델과 달리, 정치적·사회적 이슈에 대한 응답이 제약될 가능성이 큽니다.

3. 기술 및 생태계 한계

  • 오픈소스 및 연구 생태계 부족
    • DeepSeek이 일부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공개했지만, OpenAI나 Meta, Hugging Face처럼 광범위한 오픈소스 생태계를 구축하지는 않았습니다.
    • 연구자 및 개발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API 및 모델이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 경쟁 모델과 비교한 혁신성 부족
    • GPT-4, Claude, Gemini 등 경쟁 모델들은 멀티모달 AI(텍스트+이미지+오디오) 기술을 강화하고 있지만, DeepSeek은 현재 주로 자연어 처리(NLP) 중심입니다.
    • OpenAI와 Google이 선도하는 최신 AI 기술(예: AI 에이전트, 자율적 학습 모델 등)에서 DeepSeek이 얼마나 경쟁력을 가질지는 미지수입니다.

 

4. 기업 및 산업 적용성 문제

  • AI 인프라 및 클라우드 서비스 부족
    • OpenAI, Google, Microsoft 등은 강력한 클라우드 AI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DeepSeek은 아직 대규모 클라우드 인프라 및 AI API 시장에서 경쟁력이 낮을 수 있습니다.
    • 기업이 DeepSeek을 활용하려면 인프라 및 API 지원이 충분해야 하는데, 아직 이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입니다.
  • 시장 신뢰도 부족
    • OpenAI, Google, Microsoft 등의 AI 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반면, DeepSeek은 아직 대규모 글로벌 기업에서 채택한 사례가 적습니다.
    • 기업이 DeepSeek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성능, 보안, 신뢰성 등의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

DeepSeek은 중국 AI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중국어 기반 AI 모델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질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다국어 성능, 규제 문제, 기술적 생태계 부족 등의 한계로 인해 OpenAI, Google 등의 경쟁자들과 비교하면 아직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앞으로 DeepSeek이 기술적 혁신과 글로벌 확장을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 AI 시장에서의 입지가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실내 AI 동영상 편집 클라우드 'Video Brain(비디오 브레인)을 제공하는 Open8(오픈에이트)사는 2021년 1 월 29 일, 제삼자 할당 증자 및 융자 조달과 함께 총 약 30억엔의 자금 조달을 실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총 자금 조달 총액은 약 70 억 엔을 기록했는데요. 기존에 '비디오 브레인'이라는 클라우드 동영상 서비스 업체에 대해 문의를 받은 적이 있었는데 마침 한화 300억엔 추가 투자를 받았다는 기사가 나와 'Video brain'이라는 클라우드 동영상 서비스를 간단하게 소개해 보려 합니다.

 

 

Video Brain을 제공하는 Open8사는 2015년 4월에 설립한 회사로 자체 AI기술을 적용한 'Open8 Core technology'를 기반으로 비디오브레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더불어 광고 플랫폼 사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비디오 브레인은 사진/영상 및 텍스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편집하여 동영상을 제작하는 서비스로 2020년 4월에 정식 출시가 되었습니다. 홈페이지의 하기 설명과 같이 간단하게 2스텝으로 누구나 AI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간단하게 제작가능하다고 하는 것이 장점입니다.

 

Open8사의 비디오 브레인소개. *출처. Open8사 홈페이지

비디오 브레인은 AI를 적용해서 누구나 쉽게 스토리가 있는 동영상을 자동 제작해주고 제작된 동영상을 쉽게 편집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실제로 사진, 동영상, 텍스트를 업로드하면 AI가 화면비율, 텍스트길이, 영상에 맞는 텍스트 매칭 등을 조정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자동제작해 준다고 합니다.

3만여개의 다양한 템플릿을 용도별로 제공하여 고객이 원하는 사용처에 맞는 영상을 무제한으로 제작 가능하다고 하네요. 또 재미있는 기능 중의 하나는 녹음된 음성파일을 입력하면 AI가 음성을 분석하여 동영상에 자동으로 자막을 생성하여 입혀준다고 합니다. 화면 1개에 4개의 동영상을 재생 가능하고 최대 60분의 동영상제작이 가능합니다.

완성된 동영상은 공유 url로 발송 및 복사가 가능하여 여러 멤버에게 공유하거나 하나의 동영상표본으로 여러가지 변형버전이 제작 가능합니다.

 

요금은 3종의 구독형 요금제를 제공하고 있으며 무제한 동영상 편집이 가능하고 요금에 따라 동시사용 제한이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신 분은 하기 url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video-b.com/

+ Recent posts